By rediscovering a mundane object for us in the civilized city, I want to invoke the question of something we take for granted: Sugar. Sugar is a cultural prop.
Do you deserve to taste this sweetness?
Sugar should matter to us: from its industrial origin in plantation slavery, to its role as an energy booster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from our own nostalgic childhood memories to its status as a major threat to public health in the modern era.
Sugar is a cultural prop, which reflects numerous sociocultural layers of history and fluctuations of power dynamics. Our perspective on sugar has always been influenced and distorted by criteria of “contemporary” society.
현대인에게는 흔히 커피에 딸려오는 무료 설탕들이 곧바로 버려지거나 오랜시간 주방 서랍의 곳곳을 전전하는 모습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설탕은 과연 그런 취급을 받아 마땅한 자원일까?
나는 설탕이라는 소재의 입체성을 일련의 다원매체로 드러내고 사회가 가지고 있는 구조와 모순이 깃든 상황의 배경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다.
나는 설탕이라는 소재의 입체성을 일련의 다원매체로 드러내고 사회가 가지고 있는 구조와 모순이 깃든 상황의 배경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다.